Jay의 개발블로그

적다보면 언젠가 늘어있을 내 실력

Cloud & Infra

VMware Workstation 가상환경 만들어서 우분투 설치하기

Jay_on_Day 2024. 6. 30. 13:29
반응형

가상머신 만들기 전 네트워킹 세팅까지 완료하였다.

지금 우리는 두가지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하나에는 우분투, 다른 하나에는 CentOS를 깔것이다.

우분투는 WebServer용으로, 다른 하나는 DBServer로 쓸 것이다.

 

그럼 다시 VMware Workstation을 키면..

 

여기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눌러도 되고, 상단 File을 누르면

 

이렇게 New Virtual Machine.. 을 눌러도 무방하다. 여튼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I will install the operation system later.'를 선택

 

Linux 선택 후 Ubuntu 64-bit를 선택, Next!

 

바로 Next! 디렉토리는 내 문서에 가면 있을 것이다. 지금은 강사님 컴퓨터 환경이라 조금 다를 수 있다.

 

50기가바이트로 설정하고 Next!
Customize Hardware... 클릭
그럼 이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왼쪽의 항목들이 7개 정도 있을 것이다. 저 위의 사항들만 남기고 다 Remove해주자. 메모리는 2기가!

 

CPU는 프로세스의 수는 2로 변경하고 프로세스 당 코어수는 1개로 한다.

 

CD-ROM은 다운 다운받은 우분투로 다운로드해둔 걸로 지정한다.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나는 20년도 4월 버전을 사용했다. 그렇게 하고 닫은 후 Finish를 누르며 마치면..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ubuntu.com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재생버튼을 누르면 리눅스가 실행될 것이다.

재생 버튼을 누르면?

오 실행된다..

 

로딩하는데 좀 걸리네요.

 

한글이 편한 한국인이지만, 나중에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그냥 영어로 합시다.

 

키보드도 영어 키보드 설정해줍시다.

 

보통 설치과 부분 설치 중 부분 설치로 합니다.

 

디스크안에 있는 항목들을 지우고 그 자리에 우분투를 깔겠냐는건데, 애초에 할당한 디스크엔 아무것도 없으니 설치 계속 해줍시다.

 

마지막으로 지울건데, 진행할까? 라고 물어보는거니 걱정하지 말고 Continue
위치는 서울로! (다른곳은 몰라도 평양 설정하시면 곤란합니다ㅎㅎ)

 

아이디랑 컴터 이름은 이렇게 설정해주고, 비밀번호도 본인이 선호하는걸로 해줍시다.
본격적으로 우분투를 깔기 시작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재시작하라고 하는데, 겁먹지 마시고 눌러주세요!

 

재부팅 과정에서 enter 누르라고 하나 뜰건데 눌러도 된다. 누르고 로그인 하면, 리눅스 설명하는 것들 있다

다 NEXT 누르고 DONE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재규어가 똿! 이러면 설치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