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y의 개발블로그

적다보면 언젠가 늘어있을 내 실력

카테고리 없음

Programming/SQL프로그래머스 SQL 레벨 1 - 과일로 만든 아이스크림 고르기

Jay_on_Day 2025. 7. 30. 16:54
반응형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의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의 출처는 위의 링크이다.

 

문제 설명


다음은 아이스크림 가게의 상반기 주문 정보를 담은 FIRST_HALF 테이블과 아이스크림 성분에 대한 정보를 담은 ICECREAM_INFO 테이블 입니다. FIRST_HALF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SHIPMENT_ID, FLAVOR, TOTAL_ORDER는 각각 아이스크림 공장에서 아이스크림 가게까지의 출하번호, 아이스크림 맛, 상반기 아이스크림 총주문량을 나타냅니다. FIRST_HALF 테이블의 기본 키는 FLAVOR입니다.

NAME TYPE Nullable
SHIPMENT_ID INT(N) FALSE
FLAVOR VARCHAR(N) FALSE
TOTAL_ORDER INT(N) FALSE

ICECREAM_INFO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FLAVOR, INGREDIENT_TYPE은 각각 아이스크림 맛, 아이스크림의 성분 타입을 나타냅니다. INGREDIENT_TYPE에는 아이스크림의 주 성분이 설탕이면 sugar_based라고 입력되고, 아이스크림의 주 성분이 과일이면 fruit_based라고 입력됩니다. ICECREAM_INFO의 기본 키는 FLAVOR입니다. ICECREAM_INFO 테이블의 FLAVORFIRST_HALF 테이블의 FLAVOR의 외래 키입니다.

NAME TYPE Nullable
SHIPMENT_ID VARCHAR(N) FALSE
FLAVOR VARCHAR(N) FALSE

 

문제


상반기 아이스크림 총주문량이 3,000보다 높으면서 아이스크림의 주 성분이 과일인 아이스크림의 맛을 총주문량이 큰 순서대로 조회하는 SQL 문을 작성해주세요.

 

예시


 예를 들어 FIRST_HALF 테이블이 다음과 같고

SHIPMENT_ID FLAVOR TOTAL_ORDER
101 chocolate 3200
102 vanilla 2800
103 mint_chocolate 1700
104 caramel 2600
105 white_chocolate 3100
106 peach 2450
107 watermelon 2150
108 mango 2900
109 strawberry 3100
110 melon 3150
111 orange 2900
112 pineapple 2900

 

ICECREAM_INFO 테이블이 다음과 같다면


FLAVOR INGREDIENT_TYPE
chocolate sugar_based
vanilla sugar_based
mint_chocolate sugar_based
caramel sugar_based
white_chocolate sugar_based
peach fruit_based
watermelon fruit_based
mango fruit_based
strawberry fruit_based
melon fruit_based
orange fruit_based
pineapple fruit_based

상반기 아이스크림 총주문량이 3,000보다 높은 아이스크림 맛은 chocolate, strawberry, melon, white_chocolate입니다.

이 중에 아이스크림의 주 성분이 과일인 아이스크림 맛은 strawberry와 melon이고 총 주문량이 큰 순서대로 아이스크림 맛을 조회하면 melon, strawberry 순으로 조회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SQL문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와야 합니다.

 

FLAVOR
melon
strawberry

 

내가 작성한 코드


select FIRST_HALF.FLAVOR
from FIRST_HALF
left join ICECREAM_INFO on FIRST_HALF.FLAVOR = ICECREAM_INFO.FLAVOR
WHERE ICECREAM_INFO.INGREDIENT_TYPE = 'fruit_based' and FIRST_HALF.TOTAL_ORDER > 3000

union

select FIRST_HALF.FLAVOR
from FIRST_HALF
right join ICECREAM_INFO on FIRST_HALF.FLAVOR = ICECREAM_INFO.FLAVOR
WHERE ICECREAM_INFO.INGREDIENT_TYPE = 'fruit_based' and FIRST_HALF.TOTAL_ORDER > 3000

이렇게 풀어낸 과정과 이유


세상에 쉬운 문제는 하나 없다. 참 어려운 건 누구나 다 계획을 갖고 있지만, 그것을 코드로 구현하는 것은 아직 어려운 코테린이의 모오습..

끼에엑!! 끼에에엑!!

 

 

그냥 딱 문제를 보고 들었던 생각은 두 테이블을 조인 시켜서 조건에 맞는 값들을 출력시키는 것을 생각했었다.

 

그러나 SQLD를 공부하면서 두 테이블을 모두 합치는 것을 FULL OUTER JOIN으로 공부를 했었고 이에 대한 도식은 아래와 같다.

 

보통은 Oracle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오라클의 FULL OUTER JOIN
SELECT a.empno, a.ename, a.job, b.deptno, b.dname
  FROM emp a
  FULL OUTER JOIN dept b
    ON a.deptno = b.deptno

 

하지만 내가 주로 쓰는 MySQL같은 경우에는 Oracle처럼 저렇게 FULL OUTER JOIN을 쓸 수 없다.

MySQL에서 FULL OUTER JOIN을 쓰려면 아래와 같이 사용해야한다.

#MySQL의 FULL OUTER JOIN
SELECT a.empno, a.ename, a.job, b.deptno, b.dname
FROM emp a
LEFT JOIN dept b ON a.deptno = b.deptno
  
UNION
  
SELECT a.empno, a.ename, a.job, b.deptno, b.dname
FROM emp a
RIGHT JOIN dept b ON a.deptno = b.deptno

 

보다시피, LEFT JOIN과 RIGHT JOIN을 한것들을 모두 UNION시키는 방법이다. 그림으로 설명을 하자면, 

좌) LEFT JOIN 우) RIGHT JOIN

이를 모두 합치게 되면(UNION),

UNION

 

여기서 하나를 더 이야기를 해보자면, UNION과 UNION ALL의 차이를 알아야한다.

UNION의 경우에는 LEFT JOIN된 부분과 RIGHT JOIN된 부분 중 교집합 된 부분에서 각각 값이 1개씩 있기에 중복이 발생할텐데,

UNION을 사용하면 중복된 값들을 제거한다. UNION ALL의 경우 중복된 값을 없애지 않고 중복된 값을 그대로 냅두는 차이가 있다.

 
이로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출력되었다.

 

결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