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y의 개발블로그

적다보면 언젠가 늘어있을 내 실력

Programming 16

<멋쟁이사자처럼대학>일단 만드는 Django(2-5)

* Chapter2 Step5 python for Django - what is web service * WWW = World Wide Web 즉 정보의 그물망이다. WWW(World Wide Web)에는 3가지로 구성되어있다.(URL,HTTP,HTML) url = 정보자원이 어디있는지 나타내는 표식 HTTP = 정보자원으로 접근하고 통신하게 해 주는 약속,방법(프로토콜) HTTP의 요청에는 대표적으로 GET과 POST이다. GET "갖다 줘"라는 요청이다. 예를 들어 내가 유튜브 홈페이지를 연다고 하였을 때 우리는 유튜브에게 GET요청을 하게 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유튜브 흠페이지가 html파일로 돌아오는 이러한 과정을 GET요청이라고 한다. POST "(이 데이터) 처리 해줘"라는 요청이다. POS..

<멋쟁이사자처럼대학>일단 만드는 Django(2-4)

* Chapter2 Step4 python for Django - 모듈, 패키지, 라이브러리 * 모듈 = 파이썬으로 정의된 파일 패키지 = 모듈의 집합, 모듈의 계층 단위 라이브러리 = 쓸 만한 기능들을 미리 모듈/패키지로 만들어 놓은 것 즉, 미리 준비된 모듈 패키지 내가 다운 받은 패키지들을 관리하는 것을 pip라고 한다. pip의 기능들은 다음을 참고한다. 여기까지가 기초적인 파이썬에 관한 것들이었다.

<멋쟁이사자처럼대학>일단 만드는 Django(2-3)

* Chapter2 Step3 python for Django - 객체와 클래스 * 객체가 만들어진 배경에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들을 프로그래밍하고 싶어하는 우리 선조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러기 위해선 다른 대상들을 관찰하는 것이 우선이다. 즉 세상에 있는 모든 객체를 관찰한다는 것이다 객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면, 이 세상에 인쓴 모든 다른 대상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객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을까? 라고 강사님께서 강의를 시작하셨다. 그에 대한 대답은 상태와 동작이라고 하셨다. 이 세상에 있는 모든 대상들은 상태와 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우리는 변수와 함수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더 깊이 들어가보자면 게임으로도 예시를 들 수 있다. 달..

<멋쟁이사자처럼대학>일단 만드는 Django(2-2)

* Chapter2 Step2 python for Django - 예외처리 * 파이썬에서 오류는 문법 에러(파싱 에러)와 예외가 있다. 문법 에러(파싱 에러)란 실행 자체에 영향을 주는 치명적인 오류이다. 실행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보자. def main(a,b) return(a+b) main(1,2) def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기본적인 def형은.. #2 def 임의의 함수 이름(사용할 변수(들)): 어쩌구 저쩌구 return(변수들) #1 함수 이름(변수들) 이런 형식이고, 컴퓨터가 코드를 인식하였을 때 함수가 존재하는 구나 정도로 인식한 이후, 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발견되었을 때 그 함수들을 본격적으로 해석하면서 실행한다. 하지만 위의 기본적인 틀에서 ' : ' (콜론)이 바졌..

<멋쟁이사자처럼대학>일단 만드는 Django(2-1)

* Chapter2 Step1 python for Django - Dictionary * Dictionary = 자료형이다. 사전에서 A라는 기준으로 Apple을 찾듯이 탐색의 기준은 키워드(Key), 탐색의 기준에 대응되는, 찾고자 하는 값(Value) 키워드와 찾고자 하는 값을 대응시키는 자료형이기 때문에 딕셔너리형이라고 불린다. Key값을 통해 Value 값 얻어내는 방법은 print(Val[Key1]) #출력은 Value1의 값이 출력된다.

<멋쟁이사자처럼대학>일단 만드는 Django(intro)

Django의 구동원리 세세한 동작과정을 배우는 것이 아닌 웹 서비스를 어떻게 런칭하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수업이다. 강사님께선 이렇게 말씀하셨다. 무언가에 빠싹한 지식을 알면 뭐든 활용하는데 능수능란한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라 하셨다. 다 알면 좋지만, 마이크를 예를 들어 설명해주셨다. 마이크를 사용하여 녹음하는데, 굳이 마이크의 음파부터 소리감지 센서등 이런 마이크의 구조와 작동원리에 대해 알아야하는 지처럼 쟝고도 똑같다고 하셨다. 쟝고에 빠삭하다고 상상한 내용을 만들 수 있는건 확실치 않다. 그러기에 쟝고 하나하나를 뜯어보기 보단 상상한 내용을 웹으로 구현하도록 훈련하는 것을 배운다고 하셨다. 쟝고는 언제나 거둘 뿐이라 하셨다. Django는 웹 프레임워크라고 한다. 웹 프레임워크란 웹 서비스..